투석간호
1. 혈액투석 혈액이 셀룰로오스나 합성제제로 만든 인공반투막을 통과하는 동안 노폐물이 여과되어 배설된다. 이뇨제의 효과가 없는 체액 과부하, 심낭염,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신경계 증상, 출혈경향 등이 증상이 나타날 때 즉시 투석을 시작한다. 1) 투석환경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응급실이나 투석실에서 시행할 수 있다. 대상자의 상태가 안정되면 퇴원 후 혈액투석센터에 내원하거나 가정에서 할 수도 있다. 2) 투석 절차 혈액투석은 투석기, 투석액, 혈관 통로, HD 기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석기는 혈액부분, 투석액 부분, 반투막, 막을 지지하는 밀봉구조 등 4부분으로 구성된다. 혈액투석을 시작하면 혈액과 투석액은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투석액은 인간의 혈장과 거의 흡사하나 포타..
2022. 12. 27.
만성신부전2
2. 자료수집 1) 병력 평상시 체중과 최근의 체중증가나 감소를 질문한다. 과거 신장병이나 비뇨기 질환을 앓은 병력,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만성 건강문제, 약물복용, 현재의 건강상태 등에 대해 사정한다. 또한, 최근 신체적 피로로 인한 실생활의 변화가 있는지, 비정상적인 멍이나 출혈이 있는지, 소변의 양상에 대해 자세히 조절한다. 2) 진단검사 ① 소변검사 소변 분석검사와 함게 24시간 요중 크레아티닌과 요소청소율을 검사한다. 요중 단백질, 포도당, 적혈구, 백혈구는 증가하고 요비중과 소변 삼투질 농도는 보통 감소한다. 크레아티닌 청소율 역시 저하된다. ② 혈액검사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혈청 요소질소, 소듐, 포타슘, 칼슘, 인산염, 중탄산염,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등을 검사한다. ③ X- 선 검사 ..
2022. 12. 17.